| 1. WindowsCE 6.0 development environment 1.1 Installation Windows Embedded CE 6.0 자세한 설치 과정은 여기 Installation Windows CE Install Guide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2 Install BSP (1) 제공하는 CD-ROM에서 "\WindowsCE6\SMDK6410" 디렉토리를 "C:\WINCE600\PLATFORM\" 에 복사 합니다. (2) 제공하는 CD-ROM에서 "WindowsCE6\Project" 안의 모든 파일들을 "C:\WinCE600\OSDesigns\" 에 복사 합니다. 프로젝트의 기본 언어 설정은 "한글" 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복 이후의 디렉토리 구조 입니다.   1.3 커널 컴파일 Windows CE 커널 컴파일은 이전 1.2절에서 설치했던 BSP를 이용해서 컴파일 합니다. Windows 시작메뉴에서 "Program" >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를 실행 합니다. 이때 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는 메세지 창이 나옵니다.  프로그램 실행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주기 위해서 VS2005 단축 아이콘 혹은 시작메뉴의 프로그램에서 등록 정보에서 호환성 체크를 하고 실행 합니다.  File-> Open-> Project/Solution 를 실행 합니다.  "C:\WINCE600\OSDesigns\Mini6410-en" 프로젝트 솔루션 파일을 선택 하고  "Build-> Advanced Build Commands-> Clean Sysgen" 를 실행하여 커널 컴파일을 시작 합니다. 이것은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서 기본으로 컴파일 하는 것입니다. 언어를 한국어 등으로 수정하기 위해서는 1.4 커널 커스터마이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커널 컴파일이 완료되면 C:\WINCE600\OSDesigns\Mini6410\Mini6410\RelDir\Mini6410_ARMV4I_Release 디렉토리에 NK.bin, NK.nb0 파일이 생성 됩니다.  1.4 커널 커스터마이징 1.4.1 언어설정과 국가 코드 수정 "Project" > "Properties" 에서 "Locales", "Default locale" 을 한국어로 수정 합니다.  "Catalog Items View" 에서 한국어 폰트와 입력기를 추가 합니다.  1.4.2 LCD Type에 따른 BSP 코드 수정 개발보드의 Windows CE BSP에서는 아래와 같은 LCD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NEC 4.3 "LCD with touch - Toppoly 3.5 "LCD with touch - Innolux 7 "LCD with touch - Sharp 8 "LCD (or compatible) with touch - LCD2VGA adapter modules: the respective 1024x768, 800x600, 640x480 resolution, three - EZVGA: A Simple VGA adapter plate to support the 800x600 (or less) resolution output LCD종류가 여러가지이기 때문에 컴파일 할때 LCD종류에 따라서 "\SMDK6410\SRC\INC\options.h" 파일을 수정 해야 합니다. //#define LCD_T35 - the default for NEC4.3 "LCD //#define LCD_L80 //#define LCD_A70 //#define LCD_VGA1024768 //#define LCD_VGA800600 //#define LCD_VGA640480 //#define LCD_EZVGA 시리얼 포트 기능등을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습니다. // --- by customer #define KITL_NONE - default //#define KITL_SERIAL_UART0 //#define KITL_SERIAL_UART1 1.4.3 터치 방식에 따른 BSP 코드 수정 LCD터치를 개선하기 위해서 우리는 LCD컨트롤러 모듈에 touch screen controller chip ADS7843를 사용 했습니다. 이것은 PWM1(GPF15)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touch_1wire.dll)를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아래과 같은 수정 작업이 필요 합니다. “C:\WINCE600\PLATFORM\SMDK6410\SMDK6410.bat" 파일을 수정 합니다. set BSP_NOTOUCH= set BSP_NOTOUCH_ADC=1 set BSP_NOTOUCHCOM=1 set BSP_NOTOUCH_1WIRE= serial port touch screen controls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수정 하세요. serial port touch screen controls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터치 컨트롤러를 연결해야 합니다. set BSP_NOTOUCH= set BSP_NOTOUCH_ADC=1 set BSP_NOTOUCHCOM= set BSP_NOTOUCH_1WIRE=1 1.4.4 About bootloader Nboot(이름만 Nboot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고, 실제로는 Eboot 입니다.)소스코드 위치는 C:\WINCE600\PLATFORM\SMDK6410\SRC\BOOTLOADER 에있고 여기에는 2개의 소스 디렉토리가 있습니다. 또한 Nboot.nb0 파일의 형식은 ADS compiler에서 생성한 bin 포맷과 동일 합니다. - nbootRAM128 : 128MB DDR RAM용 소스 - nbootRAM256 : 256MB DDR RAM용 소스 위의 2개의 부트로더는 커널 컴파일시 같이 컴파일이 됩니다. NBoot는 일반적으로 NAND플래시의 Block 0 에 Write가 되고 부팅시 실행되고, WinCE 커널을 로딩하여 실행 합니다. 삼성전자에서 기본적으로 이 코드를 제공 하였고 우리는 많은 개선을 하였습니다. - Support for fast display boot screen - Load WinCE kernel to support dynamic progress bar - Quick Start WinCE SMDK6410\SRC\IN\options.h 파일을 수정해서 Nboot의 여러가지 사항을 수정 할 수 있습니다.
// Background color setting #define BACKGROUND_R 0x00 #define BACKGROUND_G 0x00 #define BACKGROUND_B 0x7F // Progress bar color setting #define PROGRESS_BAR_R 0xFF #define PROGRESS_BAR_G 0xFF #define PROGRESS_BAR_B 0x00 // Boot logo position #define LOGO_POS_TOP 0 #define LOGO_POS_LEFT 0 // Progress bar position #define PROGRESS_BAR_TOP 240 #define PROGRESS_BAR_LEFT 50 #define PROGRESS_BAR_WIDTH 400 #define PROGRESS_BAR_HEIGHT 4 CE부트로더를 커널과 함께 컴파일을 하면 많은 시간이 소요 되므로 Nboot 만 따로 컴파일 하면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습니다. Nboot 소스디렉토리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 한다음 "Build" 명령을 수행 합니다.  1.4.5 Build SDK 일반적으로 WinCE용 응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타겟 개발보드에 맞는 SDK가 필요 합니다. 위에서 컴파일한 커널에 맞는 SDK를 생성해 보도록 합니다.  SDK빌드가 완료되면 "C:\WINCE600\OSDesigns\mini6410\mini6410\SDKs\mini6410sdk" 디렉토리에 "Mini6410-CE6-SDK.msi" 파일이 생성 됩니다. 1.4.6 Install SDK 1.4.5에서처럼 SDK를 다시 빌드한 SDK를 설치 하거나 CD ROM에 있는 파일을 사용해도 됩니다. SDK설치는 아주 간단 합니다. 단지 "Mini6410-SDK.msi" 를 실행 하기만 하면 됩니다.  "Next" 진행  "Accept" 선택하고 "Next" 진행  정보 입력하고 "Next" 진행  "complete" 를 선택해서 진행  "Next" 선택해서 설치 시작    SDK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보통 Windows CE 6.0의 SDK의 설치 디렉토리는 "C:\Program Files\Windows CE Tools\wce600" 에 설치가 됩니다. CE 5.0의 SDK 설치 디렉토리는 "C:\Program Files\Windows CE Tools\wce500" 입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